연구 환경에서는 정말 다양한 데이터가 만들어지고 관리됩니다. 특히 전임상 연구나 실험실에서는 EDC, 즉 전자 데이터 캡처 시스템과 SDMS, 즉 과학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 두 시스템 모두 데이터를 다루기는 하지만, 각각의 목적과 역할이 확실히 다릅니다.
EDC 시스템의 특징
EDC(Electronic Data Capture)는 이름 그대로 데이터를 전자 방식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연구자나 담당자가 실험 도중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면, 바로 오류를 확인해 데이터의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EDC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시간 데이터 입력과 검증: 범위를 벗어나거나 잘못된 값 입력 시 즉시 오류 감지
- 데이터 무결성 보장: Audit Trail, 전자 서명 등으로 규제 준수 지원
- 협업 강화: 연구팀이 동시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접근 가능
- 보고서 자동화: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규제 제출용 문서와 리포트를 생성
- GLP 규정 준수: 전임상 환경에서 필수적인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
즉, EDC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검증”하는 데 최적화된 시스템이라 할 수 있습니다.
SDMS 시스템의 특징
SDMS(Scientific Data Management System)는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여러 장비와 기기에서 생성된 원시 데이터와 파일을 보다 안전하게 저장하고 보관하는 데 중점을 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PDF, TXT, CSV, 이미지, 분석 결과 파일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데이터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해 줍니다. SDMS의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자동 데이터 수집: 실험 기기에서 생성된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
- 데이터 보존과 버전 관리: 규제 요건에 맞게 데이터 변경 이력까지 기록
- 중앙 저장소 역할: 모든 연구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검색과 조회를 쉽게 지원
- 규제 준수: 21 CFR Part 11 등 데이터 무결성 요건을 만족하는 보관 체계
- 다른 시스템과 연계: LIMS, ELN, EDC와 연결되어 데이터 허브 역할 수행
즉, SDMS는 데이터를 “수집·보관·검색”하는 데 특화된 시스템입니다.
EDC vs SDMS 한눈에 비교
구분 | EDC (Electronic Data Capture) | SDMS (Scientific Data Management System) |
목적 | 연구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검증 | 장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보관·관리 |
데이터 소스 | 연구자 직접 입력 (실험, 시험 기록) | 기기·장비에서 생성된 원시 데이터 |
주요 기능 | 실시간 검증, Audit Trail, 전자 서명, 보고서 생성 | 데이터 저장, 버전 관리, 검색, 규제 준수 |
초점 | 데이터 품질과 정확성 | 데이터 보존과 추적성 |
규제 대응 | GLP, 임상시험 규정에 맞춘 입력 관리 | 21 CFR Part 11 등 데이터 아카이빙 규정 충족 |
결론
EDC와 SDMS는 모두 연구 데이터를 다루지만,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집니다.
- EDC는 연구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증하고 품질을 보장하는 시스템
- SDMS는 연구 장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그래서 전임상이나 연구 환경에서는 두 시스템을 함께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쉽게 말해, EDC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데 초점을 두고, SDMS는 그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역할에 더 신경을 쓴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Quality & Regul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dit Trail, 장비 소프트웨어만 지원하면 충분할까? (0) | 2025.03.18 |
---|---|
[Webinar] 새로운 SEND 표준 및 FDA 규정 준수에 대비하는 방법 (0) | 2025.03.02 |
CSV는 NAS에서도 필요할까? – 컴퓨터시스템검증의 오해와 진실 (0) | 2025.03.02 |
Xybion QMS 소개 – 독립형 디지털 품질관리 시스템의 모든 것 (0) | 2025.03.01 |